History (역사)(5)
-
청동기 시대(B.C. 2000년~)
청동기 시대(B.C. 2000년~) : ①청동기와 민무늬 토기 등, ②(보리·콩 등 밭농사 중심 하에서) 벼농사의 시작, ③직사각형·장방형의 지상화 움집, ④기타(고인돌·바위그림·선민사상 등) ❑ 군장 사회(君長社會) : (신석기 시대에 시작된) 농경이 청동기 시대에 들어 더욱 발달함에 따라 빈부의 격차가 나타나고, 그것은 평등한 부족사회에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생기도록 하여(➫사유재산과 계급의 발생) 정치적 지도자인 군장이 출현하게 된다. ※ 원시공동체사회(原始共同體社會) → 군장 사회(君長社會) → 고대국가 ✅정치적 지도자인 군장이 출현하면서 국가가 형성되고(➫청동기 시대에 국가가 형성되기 시작), 이어서 철기 시대가 전개되었다. ※ 고조선은 「우리민족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한 국가」로, 청동기 문화..
2021.01.19 -
신석기 시대(B.C. 8000년~)
신석기 시대(B.C. 8000년~) : ①간석기와 빗살무늬 토기 등, ②조·피·수수 등 농경의 시작, ③원형·방형의 반지하 움집, ④기타(가락바퀴와 뼈바늘, 치레걸이·조가비·여인상 등) ❑ 선사시대 : 문자가 사용되기 이전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시대(↔역사시대)로,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 석기·청동기·철기 시대로 나뉜다. ❑ 원시공동체사회(原始共同體社會) : (아직 생산력의 수준이 낮아서) 공동생산·공동분배를 하던 시기로, 인류가 출현한 이후 계급사회가 형성되기 전까지를 말한다. 구석기의 무리사회와 신석기의 씨족사회가 여기에 해당한다. ✔원시공동체사회에서는 계급이 발생하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에 구성원들 간에 평등한 공동체적 생활을 하였으며, 착취나 억압구조가 존재하지 않았다. ※ 구석기의 무리사회에..
2021.01.04 -
구석기 시대(70만년 전 ~ 1만년 전)
구석기 시대(70만년 전 ~ 1만년 전) : ①뗀석기(➫주먹도끼·찍개), ②수렵·채집, ③동굴 또는 막집, ④기타(불과 언어, 고물뼈) ❑ 선사시대 : 문자가 사용되기 이전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시대(↔역사시대)로,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 석기·청동기·철기 시대로 나뉜다. ※ 석기 시대는 다시 석기를 만드는 방법에 따라 「돌을 떼어내어 만든 뗀석기를 사용한 구석기 시대」와 「돌을 갈아서 만든 간석기를 사용한 신석기 시대」로 나뉜다. ※ 우리나라와 그 주변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 70만 년 전(➫구석기 시대)부터이다. 그러나 이들을 우리민족이라 볼 수는 없고,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를 거치면서 민족의 기틀이 형성되었다. ※ 구석기 시대에는 한반도와 일본이 육지로 연결되어 있어서 우리의 문..
2020.12.25 -
사료(史料) 비판
사료 ①사료(史料) : 역사 연구에 필요한 문헌이나 유물, 문서, 기록, 건축, 조각 따위(=역사적 재료)를 이른다. ※ 사료(史料)에는 「과거 사람들이 남긴 유물이나 유적, 기록 등의 1차 사료」와 「후대의 역사가들이 정리해 놓은 2차 사료」가 있다. ②사료(使料) : 사용한 값으로 내는 요금 ③사료(思料) : 깊이 생각하여 헤아림 ④사료(飼料) : 가축에게 주는 먹을거리 사료(史料) 비판 : 사료(史料)를 사실이라고 판단하기 이전에 '사료의 신빙성ㆍ내용의 타당성 등'을 살펴보는 것으로, 외적 비판과 내적 비판이 있다. ①외적 비판 : 사료(史料) 그 자체의 진위 여부에 대한 비판 ②내적 비판 : 사료(史料) 내용의 신뢰성에 대한 비판 ※ 역사가는 사료(史料)를 사실이라고 판단하기 이전에 '사료의 신빙..
2020.12.16 -
사실로서의 역사와 기록으로서의 역사
사실로서의 역사(랑케) : ①과거에 있었던 모든 사실, ②객관적·불변, ③실증주의 사관 ※ 사실로서의 역사는 시간적으로 현재까지 일어난 모든 과거의 사건(➫바닷가의 모래알과 같이 과거에 있었던 수많은 사건의 집합체)을 말한다. Fe. 건국 초에 향리의 자제를 뽑아 서울에 머물게 하여 출신지의 일에 대하여 자문하였는데, 이를 기인이라 한다. 동국지리지(한백겸)는 문헌고증에 입각한 객관적인 역사연구를 추구하였다. 사기(사마천)는 기전체로서 역사를 본기, 세가, 지, 열전, 연표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 역사가는 사료를 사실이라고 판단하기 이전에 신빙성ㆍ내용의 타당성 등을 살펴보아야(➫사료비판) 한다. ❑ 랑케 : 역사가는 자신을 죽이고 오직 사실로 하여금 말해야 한다. 기록으로서의 역사(크로체, 콜링우..
202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