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 시대(B.C. 2000년~)

청동기 시대(B.C. 2000년~)

2021. 1. 19. 10:37History (역사)

728x90

청동기 시대(B.C. 2000~)  :  ①청동기와 민무늬 토기 , (보리·콩 밭농사 중심 하에서) 벼농사의 시작, 직사각형·장방형의 지상화 움집, ④기타(고인돌·바위그림·선민사상 )

군장 사회(君長社會)  :  (신석기 시대에 시작된) 농경이 청동기 시대에 들어 더욱 발달함에 따라 빈부의 격차가 나타나고, 그것은 평등한 부족사회에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기도록 하여(사유재산과급의 발생) 정치적 지도자인 군장이 출현하게 된다.

    ※ 원시공동체사회(原始共同體社會)  군장 사회(君長社會)  고대국가

    ✅정치적 지도자인 군장이 출현하면서 국가가 형성되고(청동기 시대에 국가가 형성되기 시작), 이어서 철기 시대가 전개되었다.

        ※ 고조선은 우리민 역사음으로 등장한 국가」로, 청동기 문화경으로 성립하였다.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남성은깥일(fe.농사나) 종사하고, 여성은 주로 집안일을 담당하면서 남성 우위 사회(부계 중심의 사회)로 이행하게었다.

    ✅족을 통솔하는장은 청동제 무기용하여웃부족을 정복하는 력을 확장하였다. 「방어를 위해 마을주변에 환호(도) 두르고 목책(울타리) 청동기 시대적」을 통해 이러 사회상을 짐작할 있다.


청동기와 민무늬 토기

청동기  :  청동으로 만든 무기나 장신구,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주로 사용되었다. ①무기로 비파형 또는 세형 동검 등이 있고, ②장신구로 거친무늬 또는 잔무늬 거울 등이 있다.

  ♦청동기 시대에 실제로 청동기가상생활에서 널리용었다고 보기 어렵다. 청동의 원재료인 구리와 주석은 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공하는 것도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청동기는 충격에 약하여 부러졌다.

     ※ , 청동기는 귀하고 다루기 어려우며 부러지기 때문에 농기구나 일상적인 도구로용하지 않고(농사를 짓거나 일상적인 활동에는 주로 '나무나 간석기'용됨), 주로 지배층의 무기·장신구(꾸미개) 또 종교적 의기(지배자 상징물) 사용하였다.

  ♦비파 동검(요령식 동검)과 거친무늬(조문)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 만주와 한반도(부여 송국리 ) 걸쳐 분포한다. 이는 청동기 시대에 만주와 한반도가 같은 문화권이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세형 동검(한국식 동검) 잔무늬 거울(세문경) 등은 청동기 시대 후기 만들어져서 철기 시대까지 사용된 청동기로, 주로 청천강 한반도에서 발견된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청동기 문화독자적으로 발전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 동검은 (무기가 아니라) 식용 도구였다.

  ♦청동기 시대에는 전문적인 청동기 장인(금속을 다루 전문장인) 나타나 직업적인 전문화도 이루어졌다.

 

   ❑ 거푸집(mould, 鎔范, 용범)  :  금속을 녹여 부어서 물건을 만들기 위한 틀로, 주로 청동기나 철기 금속도구의 제작에 쓰인다.

 

민무늬 토기

  ❑ 청동기 시대의 토기  :  덧띄김무늬 토기  민무늬 토기  송리식 토기  부여 송국리식 토기  붉은 토기

     ✅덧띄김무늬 토기  :  토기의 입구에 점토 띠를붙여서 그곳에 무늬를 새긴 토기로, 신석기 말에서 청동기 초기까지 사용되었다.

     ✅민무늬 토기(무문토기, 無文土器)  :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 일본의 야요이 토기 영향을쳤다.

     ✅송리식 토기  :  무문토기의 형식으로, 손잡이와 집선무늬가 특징이다.

     ✅부여 송국리식 토기 

     ✅붉은 토기


(보리·콩 밭농사 중심 하에서) 벼농사의 시작

청동기 시대 농업은 보리·콩 밭농사가 중심이었다. 다, 일부 저습지에서는농사를었다.

부여 송국리, 여주 흔암리, 서금리, 평양 남경 등에서 탄화 볍씨출토되어 청동기 시대에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있다.


직사각형·장방형의 지상화 움집

청동기 시대의 움집은

  ①직사각형 장방형으로 바뀌면서 점차옥화되어 갔다.

     주의>완전한 지상식 주거는 철기시대에 등장하였다. 철기시대에 기존의 움집은 (지상식 주거가 점차 늘어나면서) 창고 등의 저장시설로 이용되었다.

  ②(취사 난방을) 화덕이 한쪽 벽으로 이동하고, 저장구덩이 한쪽 벽면 밖으로 돌출되거나, 밖에 따로 설치되었다. 창고 등의장시설이 밖에 독립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③4~5 정도의 족이 살기에 알맞은 크기였다.

 

신석기 시대의 주거지는 주로 강가·해안 있었으며,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는 주로 배산임수의 구릉지 있었다.

 

청동기 시대에 주거 외에 창고·공동작업장·집회소·공동의식장소 등도 만들어져서 정착생활의 규모가 확대되었음을 있다.

 

(청동기 시대 대표적인락유적인) 부여 송국리 등에서 발견된 환호유적은 청동기 시대에 부족 전쟁이 빈번하던 사회상을 짐작하게 한다.

  ❑ 환호유적  :  (취 주위)에 방어를 위해 도랑을 파고 목책(울타리) 유적으로, 부여 송국리 등에서 발견된다.


기타(고인돌·바위그림·선민사상 )

고인돌(지석묘)  :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덤으로, 북방식(탁자), 남방식(바둑판), 개석식이 있다.

  ♦고인돌은 전국에 분포하지만, 황해도·전라도에 가장 밀집되어 있다. 특히, 강화·화순·고창고인돌 유적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수십 톤에 달하는 고인돌의 제작에는 대규모의 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청동기 시대에 정치권력과 경제력을(족장) 출현하였다는 것을 있다.

  ♦청동기 시대덤양식으로는인돌(지석묘), 돌널무덤(석관묘), 돌무지무(적석총) 있다.

     ※ 철기 시대덤양식으로는 독무덤(옹관묘), 널무(목관묘) 있다.

 

바위그림(암각화·암각·암화)  :  바위나 동굴 내 벽면 등의 표면에 동식물이나 문양·기호 등을 그려 넣은 것으로, 울산 반구대, 울주 천전리, 고령 양전동 유명하다.

   ※ 바위그림은 구석기 시대부터 그려지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청동기 시대에 그려진 가장 많이 발견되고 있다.

  ♦울산 반구대의 바위그림  :  슴·고래·거북 다양한 동물이 새겨져 있다. 사냥과 물고기잡이의 성공과 풍성한확을 기원 것으로인다.

  ♦울주 천전리의 바위그림  :  동심원 기하학적 무늬뿐만 아니라 사슴·물고기· 동물도 새겨져 있다.

  ♦고령 양전리의 바위그림  :  동심원과 방패 모양 등이 새겨져 있다.

 

선민사상  :  늘의 또는 하느님에게 선택된 백성이라는 의미로, 청동기 시대에 형성되었다.

  ※ 청동기 시대에 경제력이나 정치권력이 우세족들은 스스로 하늘의손이라고 믿는 선민사상을 가지고, 주변의 약한족을 통합·정복하고 공납을 요구하였다.

  ※ 하느님의 아들 환웅이 인간 세상을 널리 이롭게 목적으로 내려와 고조선을 건국하였다.(단군 건국 신화 선민사상)


토우(土偶)  :  흙으로 만든 사람, 동물, 생활용구 등의 형상으로, (완구용도 있지만) 대부분은 주술적이거나 부장물로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토우는 유럽에서는 후기 구석기 시대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신석기 시대에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만들어져서 삼국시대의 신라와 가야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728x90